달력

3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프랑스 작가 스탕달은 현악 4중주에 대해 네 사람이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비유했다. 1 바이올린은 언제나 화제를 제공하며 대화를 이끌어 가는 재치 있는 중년, 2 바이올린은 소극적이고 양보하는 친구, 비올라는 대화에 꽃을 피우며 분위기를 부드럽게 해 주는 여성, 그리고 첼로는 학식이 많으며 대화를 조정해 주는 중후한 신사라며 음악의 조화를 말했다. 음악에 깊은 조예가 없는 나도 귀로 들려오는 좋은 음악에 마음을 열게 되고, 그 안에서 내면의 조화를 도모하기도 한다. 이런 삶의 구석구석에서 찾아드는 조화로움에 우리는 감동의 시간을 만난다.

 

대화가 없는 나라에서 이 비유로 얻는 불편한 진실들의 불협화음은 삶을 참으로 고단하게 한다. 역설이 난무하는 시대를 살아오면서 선의의 왜곡과 이념의 틀을 끊임없이 곧추 세우려는 세력이 있다. 그들의 흑역사는 권력의 사유화로 얻어 챙긴 부의 축적이다. 1세기를 넘어 끄트머리의 사실들이 겨우 새어 나오고 있는 중이다. 삼권 분립의 민주 공화국은 안타깝게도 분립보다는 통합으로 점철되어온 시기가 압도적으로 길었다. 독재를 미화해온 한국적 민주주의, 권력의 부역을 포장한 세계화의 신자유주의 시대로 이어지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을 시청광장에 서게 한다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그는 국가 에서 정의로운 국가를 주제로 삼았다. 유토피아 같은 국가를 구상한 이유는 당시의 아테네가 몰락과 타락의 과정으로 가고 있어 이를 극복해보려는 의지 때문이었다. 정치적 앎은 공동체 전체를 고려하는 앎으로서 이성적 판단에서 비롯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지금 동굴에 있다.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 등장하는 동굴이 아니다.

 

앞만 보도록 하여 동굴의 벽면에 비추는 자신의 그림자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사방이 열려 눈에 보이는 미디어들로 벽을 만든 동굴이다. 플라톤은 동굴 안의 가시적 현상의 세계에서 동굴 밖, 지성에 의해서 알 수 있는 실재의 세계를 향해 나서려는 험난한 노력을 요구한다. 정치적인 일들이 우리 모두에게 공정하게 전해지고 있는 지를, 스마트폰 시대의 스마트한 개인들의 손에 들린 놀라운 기계가 정보의 공유를 기다리고 있다면 나는 과연 그 기다림에 응답을 하고 있는지를 물어볼 일이다. 그리고 그 정보들이 이성적 판단에 근거한 것인지를 따져 볼 일이다.

 

플라톤은 정의로운 국가를 위한 이성적 판단이 요구되는 국가를 운영하기 위해, 철인정치를 요구하지만 그 철인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교육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고,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철인정치는 꿈꿀 수도 없도록 하는 불가능한 교육의 현장들이 우리의 현실을 말해 주고 있다. 신화는 우리에게 상징을 통해 생각하기를 요구한다. 시시포스의 바위를 다시 산 위로 올리려 하지 않는 것을 마치 운명처럼 받아들이며 살아온 인류의 나약함을 되물릴 수 없다는 생각이다.

 

적어도 나부터 시작해서 내 주변인들에게라도 함께 바위를 다시 산꼭대기로 올려보자고 해야 하지 않을까. 내 앞에서 여전히 굳건하고 막을 수 없을 것만 같은 이 세계의 야만스러움과 탐욕에 순응한다면 내가 마주 하는 이 세계가 더 가속화될 것이고 인류의 적은 바로 내가 되는 것이다. 정상에서 굴러 내려오는 이 거대한 바위를 피하기에 급급한 개인의 나약함이 원인이 된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공감과 나눔, 함께하는 협력만이 이 지속적인 악의로 넘치는 현실을 선의로 바꾸어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지도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적으로 이 시기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뭐냐?'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처럼 인간의 선의를 믿고 정치하는 날이 열리게 될 것을, 반어적 표현을 직설로 바꿀 수 있는 사회로 회복되기를 바란다. 이제 우리의 국가는 어떤 모습으로 있는지 더 열렬하게 생각해 볼 일이다. 국가 안에 나는 또 어떤 모습으로 제 자리를 지켜나가고 있는지도 끊임없이 되물을 일이다.

 

5년짜리 대통령을 내세워 역사의 발전을 되돌이표처럼 반복하고 있는 삶이라는 절규하는 음악에, 나의 나약함을 던져 버리고 너와 나의 조화가 감동적인 삶을 연주해 낼 수 있다는 믿음이 필요한 시간이다. 5년짜리 정부로 토막 난 대한민국은 그래도 5천 년을 지탱해 왔다. 그것이 선이다.

 

물론 역사인식조차 갖추지 못한 지도자가 아니었기에 일어난 대한민국의 현실, 이제 5년을 채울 수도 없는 너덜너덜해진 국정 운영을 위해 박근혜 씨는 대통령 직을 내려놓고 법의 심판을 받아야만 한다. 그것이 그나마의 선의일 것이다. 그 선택조차도 스스로 결단할 수 없는 사람이라면 결국 탄핵으로 그 자리를 떠나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시민은 동굴에서 나와 광장에 서 있다. 그 민의를 거역할 역사는 없다.

 

 

'세상 이야기 > *말 건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가 뭐길래  (0) 2017.02.01
리베르 탱고  (0) 2017.01.12
역사의 약자에서 강자로  (0) 2016.11.28
세대교체를 위해...  (0) 2016.11.25
시를 품다  (0) 2016.10.31
Posted by 보랏빛꿈
|